본문 바로가기
핫! 트랜드 이슈

핵추진잠수함 vs 핵잠수함, 뭐가 다를까?

by Hoononomics 2025. 11. 2.
반응형

이름은 비슷한데, 뜻은 완전히 다르다


뉴스나 영화에서 한 번쯤 들어본 ‘핵잠수함’과 ‘핵추진잠수함’.


비슷하게 들리지만, 사실 서로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오늘은 두 단어의 차이를 쉽게 풀어서 정리해드릴게요.


🔹 핵추진잠수함이란?

말 그대로 ‘핵에너지로 움직이는 잠수함’

핵추진잠수함은 원자력(핵)에너지로 움직이는 잠수함이에요.
즉, 연료가 디젤이 아닌 핵연료라는 뜻입니다.

 

핵으로 움직이지만, 핵무기를 실을 수도 있고 안 실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비핵무장 핵잠수함’이라는 말도 가능하죠.

 

이 방식의 장점은 분명합니다.
한 번 출항하면 수개월 동안 잠수 상태 유지가 가능하고,
속도와 작전 범위도 디젤 잠수함보다 훨씬 넓습니다.

반응형

🔸 핵잠수함이란?

핵무기를 싣고 다니는 ‘전략 무기’

핵잠수함은 이름 그대로 핵무기를 탑재한 잠수함을 말합니다.


보통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을 실으며,
그 미사일 속에 핵탄두가 들어 있죠.

 

즉, 핵잠수함은 단순히 동력만 핵이 아니라
“핵추진 + 핵무기 탑재”라는 완전한 전략 무기 개념입니다.


⚖️ 핵추진잠수함 ≠ 핵잠수함

핵추진잠수함은 ‘원자로로 움직이는 잠수함’,
핵잠수함은 ‘핵무기를 실은 잠수함’이에요.

 

핵잠수함은 대부분 핵추진 방식을 쓰지만,
모든 핵추진잠수함이 핵무기를 갖고 있는 건 아닙니다.

 

👉 정리하자면

ㆍ 핵추진잠수함 = 기술적인 개념 (동력 방식)

  핵잠수함 = 무기적인 개념 (탑재 무기)


🧭 비교표로 한눈에 보기

구분 핵추진잠수함 핵잠수함
정의 원자력으로 움직이는 잠수함 핵무기를 탑재한 잠수함
추진 방식 핵연료(원자로) 대부분 핵추진 기반
무장 여부 재래식 무기 or 무장 없음 핵탄두 탑재 미사일(SLBM 등)
주요 목적 장거리 작전, 잠항 지속력 강화 전략핵 억제, 2차 보복 능력 확보
대표 국가 한국(도입 추진), 브라질 등 미국, 러시아, 중국, 프랑스, 영국

🇰🇷 한국도 핵추진잠수함 보유 추진 중

한국은 현재 핵추진잠수함 도입을 적극 검토 중입니다.


다만, 핵무장 잠수함(핵잠수함)
핵확산금지조약(NPT)과 국제 여론을 고려해 추진하지 않고 있어요.

 

한국이 보유하게 될 잠수함은
핵무기를 싣지 않은, ‘핵추진형 장거리 작전 잠수함’이 될 전망입니다.


💡 정리하자면

핵추진잠수함과 핵잠수함은
이름은 비슷하지만, ‘핵의 쓰임새’가 완전히 다릅니다.

 

핵추진잠수함 → 핵으로 ‘움직이는’ 잠수함

핵잠수함 → 핵무기를 ‘싣고 다니는’ 잠수함

 

뉴스에서 혼동하기 쉬운 이 두 단어, 이제 구분해서 보면 훨씬 쉽게 이해될 거예요 😊


 

반응형